Naver Cloud에서 Private로 구축된 서버들을 통신하기 위한 구성도
Private에 구축되어있는 VPC Server를 외부 접속을 위해 어떻게 설정을 해야할까
VPC 내부는 두가지 유형의 서브넷으로 구분한다.
Public subnet : 인터넷과 직접 통신이 가능한 영역, NAT GW나 LB가 존재함,
Private subnet : 폐쇄망으로 직접 접근할수 없는 영역
1. ACG > Outbound 규칙
접속이 필요한 Dest IP(A) 추가/서버스 포트
2. Route Table > private-table 추가
위와 동일하게 접속이 필요한 Dest IP(A) 추가/NATGW/TAGET NAME 추가.
Private로 구축된 서버들을 외부 통신하기 위해
1. ACG > outbound
2. Route Table > Private
두 곳에 접속을 원하는 IP 를 추가한다.
'IT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증서로 인한 Jenkins 배포 실패 조치(kubeconfig와 Credential) (0) | 2025.03.27 |
---|---|
K8s 기본 구성요소 및 명령어 (1) | 2025.03.24 |
K8S Pod Security Standards(Pod 보안 표준) (3) | 2025.03.06 |
크론잡(Cronjob) 작성 (0) | 2025.03.05 |
GCP 인스턴스 재기동 후 접속 불가(유동 IP) (0) | 2023.06.13 |